4. IP란?
*IP란 무엇일까?
- 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주소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며 숫자로 표기한다.
- IP가 있어야면 인터넷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국제적으로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이다.
- 인터넷은 수많은 IP로 이루어져 있다.
- 공인 IP: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IP이다. 유일무이하며 중복이 되지 않아야 한다.
- 사설 IP: 인터넷이 아닌 내부 인터넷 망(사내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IP들이다. 중복이 가능하나 외부와는 통신이 불가하다.(NAT라는 기능을 통해 공인 IP만 있으면 통신 가능)
*IPv4
- 통신을 위한 규약이다. 실제로는 0 1 로 이진법을 통해 통신을 하지만 표기 시에는 옥텟(. ) 당 0~255까지 가능하며 옥텟은 총 3개로 이루어져 있다. 0.0.0.0 ~ 255.255.255.255까지 표기가 가능하다.
- 네트워크 주소 : 통신이 가능한 IP범위
- 호스트 주소 : 호스트(장비)에 할당 할수 있는 IP 범위
- [ 클래스 ] : A, B, C, D 클래스가 존재하며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나누는 범위이다.
- A 클래스: 0.0.0.0 ~ 127.255.255.255. 호스트 영역( 0 ~ 127 ) / 네트워크 영역(0.0.0 ~ 255.255.255)
- B 클래스: 128.0.0.0 ~ 191.255.255.255. 호스트 영역( 128.0 ~ 191.255 ) / 네트워크 영역(0.0 ~ 255.255)
- C 클래스: 192.0.0.0 ~ 223.255.255.255. 호스트 영역( 192.0.0 ~ 223.255.255 ) / 네트워크 영역(0 ~ 255)
- D 클래스: 224.0.0.0 ~ 255.255.255.255. *멀티캐스트 주소 224.0.0.0 ~ 239.255.255.255
- *멀티캐스트 주소: 특정 그룹의 기기들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주소 범위와 호스트 주소 범위를 나누는 방법. ex) 255.255.255.0
- CIDR(사이더): Class Inter-Domain Routing으로 IP를 할당하고 패킷을 라우팅 하는 방법이다.
표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ex) 192.168.0.0/24. 즉 기존의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A, B, C 클래스)보다 훨씬 유연하게 네트워크를 나눌 수 있다. 필요한 만큼 IP주소 표기가 가능해서 효율적이고 라우팅 경로를 잡는데도 효율적이다.
- 기본 경로 값은 0.0.0.0/0 이다. ()
*IPv6
- IPv4는 사실 갯수가 한정적이며 현재 이미 고갈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주소 부족 문제가 있기에 대안으로 만들어졌다.
- 128비트의 길이를 가지는 표현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숫자는 0 ~ 9 알파벳은 a ~ f로 표기가 가능하며 옥텟 (. ) 대신 콜론( : ) 또는 구분자라는 기호로 범위를 구분한다.
- : : 를 사용하면 하나의 연속된 0 블록을 의미한다. 단, 한번만 사용가능하다. ex) : : >> 0000:0000:0000:0000
- IPv6는 클래스가 따로 없으며 여러 주소 유형과 주소 범위로 나누어 사용한다.
- IPv6 표기 예시: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아직까지는 IPv4가 사용률이 높지만 전 세계적으로 IPv6를 사용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