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AWS
5. AWS Lambda
the best infra
2024. 12. 3. 00:13
AWS를 사용하면서 AWS의 꽃 중 하나인 AWS 람다를 사용을 별로 해보지 못한 거 같아서 공부 겸 작성하는 글이다.
* AWS 람다(Lambda) 란?
- 서버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백엔드 서비스를 운영하게 끔 도와주는 서비스로 이벤트 중심의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이다.
- 특별한 요청이나 예상치 못한 요청을 보고 받을 때나 다른 서비스에게 전달해야 할 때 많이 사용한다.
- 다양한 AWS 서비스와 연동하면서 사용되고 특히 서버리스 아키텍처에도 많이 구성된다.
- 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되고 100만건 까지는 무료이며 그 이후에는 백만 건당 0.2불을 지불해야 한다.
- 개발자 분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이기도 하다.
* AWS에서 람다 간단하게 사용해보기
- 간단하게 뺄셈 하는 람다를 테스트를 해보는 실습이다.
- 런 타임 환경을 지정해 줄 수 있는데 node.js 환경에서 실행하고 언어는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할 것이다.
- 해당 글 이후에 모든 실습은 AWS를 가입하여 콘솔에 접속해 있는 상태로 시작한다.
- Lamda 함수를 만들어주기
- 람다 메뉴로 들어가서 함수 생성.
- 함수 생성에서 런 타입 환경은 node.j 18.x
- 테스트해보기
- 다시 함수 메뉴로 돌아와서 테스트 이벤트 클릭.
- 템플릿은 Hellow-world로 설정.
- 이벤트 이름을 작성해 주고 이벤트의 key값들을 설정.
- 코드로 돌아와서 'Hello-world 부분 수정' > event , 그리고 왼쪽 하단에 Deploy 해서 코드 배포.
- 테스트를 누른 후에 결과 값 확인.
- 실제로 빼기 연산 넣어서 배포하고 실행
- 빼기 연산을 하고 결과 값을 result변수에 넣고 출력.
- 그러면 원하는 값을 출력한다.
- 이렇듯 별도의 서버 없이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서버가 람다이다.
# 참고 자료 : AWS 강의실 - https://www.youtube.com/watch?v=-BEou7aN7AY&t=6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