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Linux
15. yum 패키지 설치
the best infra
2024. 12. 5. 16:08
* yum 이란?
- yellow dog manager의 약자이다. yum은 RPM기반의 패키지 설치 도구로 동일하게 패키지 설치를 위한 도구이다.
- 리눅스 배포판에서 제작했던 yup에서 유래했다.
- RPM과 다른 점이 있다면 패키지안에 의존성들을 분석해서 필요한 파일들을 같이 다운로드하는 도구이다.
- 원격 자동 업데이트 또한 가능하다.
- yum은 레포지터리를 통해서 파일을 관리한다.
- yum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의존성해결 : 패키지에 의존성을 파악 후에 필요한 파일들 다운로드.
- 네트워크 기반 패키지 관리 : 원격으로 저장소에 있는 패키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레포지터리 관리 : 로컬에서 레포지터리를 관리 할 수 있다. > /etc/yum.repo.d
* yum 패키지 명령어
- yum install 패키지 이름 : 의존성을 포함하는 패키지 설치
-
yum update : 시스템 전체에 설치된 패키지들 업데이트.
- yum remove 패키지 이름 : 패키지 제거.
- yum search 패키지 이름 : 설치 가능한 패키지 찾기.
-
yum update 패키지 이름 : 패키지 업데이트.
* yum 레포지터리 설정
- 레포지토리는 패키지의 다운로드 및 설치 소스로 사용된다.
- 설치 경로는 다음과 같다. /etc/yum.repo.d/
- 디렉터리 안에 패키지를 가져올수 있는 파일을 만들고 안에 경로를 작성.
* yum의 단점
- 네트워크 속도가 안 좋으면 다운로드가 느리다.
- 특정 리포지토리의 패키지가 서로 충돌할 경우 해결이 복잡.
- 리포지토리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패키지 관리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