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are Architect

Raid(1) 본문

Server

Raid(1)

the best infra 2025. 1. 21. 00:09

* 레이드 란?

  • 레이드는 데이터를 여러 곳에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효과적으로 올려주는 기술이다. 
  • 데이터를 읽어오는 속도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읽기/쓰기 처리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
  • 레이드는 종류가 총 6가지 정도 존재한다. 

 

* RAID 0 

  •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는 방식이다. 
  • 장점 : 데이터가 분산 저장되어 있다보니 각 디스크에서 읽는 데이터의 양이 적기 때문이 읽기/쓰기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 단점 : 디스크가 하나라도 손상되면 데이터가 손상된다.

 

* RAID 1 

  • 데이터를 동일하게 복제해서 다른 디스크에도 동일한 디스크가 들어간다. 
  • 장점: 디스크 하나가 손상을 입어서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여도 복사된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가 있음
  • 단점: 복사된 디스크들 때문에 데이터 저장 효율성이 50%로 하락된다.

 

* RAID 5

  • 데이터를 분산저장 시키고 각 디스크 마다 한 개의 패리티(스프라이트를 통해서 XOR 연산자로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 값)가 존해하기 때문에  디스크 하나에 데이터가 손상이 생겨도 패리티를 통해서 연산 후 손상된 값을 복구한다.
  • 만약 패리티값이 손상입어도 스프라이트의 데이터들을 참고해서 패리티를 만들어낸다.
  • 장점: 디스크가 하나가 고장나도 복구가 가능하다. 저장 공간 효율이 좋다. 
  • 단점: 패리티 계산 때문에 성능이 낮아질 수도 있다.. 그리고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

 

* RAID 6

  • RAID 5 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데이터를 분산저장 시키고 각 스프라이트에 두 개의 파리티가 생성된다.
  • 장점: 디스크가 두 개가 고장 나도 나머지 패리티를 통해서 데이터 복구를 한다. 
  • 단점: 많은 디스크가 소요된다. 또한 RAID 5 보다 패리티가 더 많아서 계산 때문에 성능 저하가 올 수 있다.

 

* RAID 0 1

  • 처음에는 디스크에 프라이트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한다. 그리고 분산 저장된 디스크를 다른 디스크로 복사하는 기술이다. 
  • 장점: 디스크의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다.
  • 단점: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나면 그룹 전체를 복구해야 한다. 안정성 면에서 좋지 않다.

 

* RAID 1 0 

  • 먼저 각 디스크들을 미러링하여 다른 복사본 디스크를 만들고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스프라이트 방식으로 분산 저장한다. 
  • 장점: 디스크의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고 하나의 디스크가 망가져도 복구가 가능하다.
  • 단점: 디스크 비용이 너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