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exus
- OpenAI
- AWS
- Azure
- aws사용자모임
- 표준 라이브러리
- python
- jenkins
- 리눅스
- git hub
- AI챗봇
- 사용자 계정 관리
- 함수
- it기사
- AI
- awskrug
- 클라우드
- 변수
- docker
- 3티어 아키텍처
- open ai
- 프로세스 관리
- GIT
- dockerfile
- Linux
- 애저
- terraform
- go
- maven
- 파이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82)
We are Architec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HIUXi/btsK7EDEwyJ/Kxsf40f1xkkLpH8zaSVm7K/img.jpg)
12월 3일 을지로 입구역 삼화타워에 3층에서 AWS사용자모임 네트워크 소모임이 열렸다. 나는 해당 모임의 첫 참석이었으며 Room 2에서 개최하신 분들이 모임을 준비하고 계셨다. 들어가자마자 옆에 간단한 허기를 채울 수 있게 음료수와 김밥을 구비해 놓으셨고 덕분에 배가 좀 나아졌습니다. 오늘의 세션 주제는 AWS 서비스중 NetworkFireWall이었습니다. 그리고 발표자 분은 AWS의 심은수 님이 발표와 진행을 해주셨습니다. 바로 시작은 하지 않았고 가볍게 Q&A 시간을 가진 뒤에 진행이 되었습니다. 우선 NetworkFireWall은 수리카타 엔진기반으로 만들어진 방화벽 서비스로써 규칙에 맞게 트래픽을 허용 및 차단하고 DNS 필터링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규칙을 지원하며 차단된 트래픽에 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7MVR/btsK5q1hOsr/YnWPKsnuAah6ozUKqBPDR1/img.png)
https://zdnet.co.kr/view/?no=20241204111604 AWS, 공유 정책 폐지…MSP "멀티클라우드 기조 견제"아마존웹서비스(AWS)가 클라우드 서비스 '공유(Sharing)' 옵션을 변경하며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이에 대해 국내 클라우드서비스관리(MSP)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서비스 등 신zdnet.co.kr # 키워드 EC2 클라우드 인프라의 '공유(Sharing)' 옵션 : 사용자가 다른 계정과 클라우드 EC2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9wlwF/btsK5nPNu2n/XxOgb7TNgz1MRZ37UZlSL1/img.png)
https://zdnet.co.kr/view/?no=20241203122816 "AWS 개발툴 사용"…GE 헬스케어, 세계 첫 '3D MRI 모델' 출시[라스베이거스(미국)=김미정 기자] 3D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지원하는 모델이 세계에서 처음 나왔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개발 도구 'AWS 세이지메이커'를 통해 탄생한 모델이다. GE 헬스케어 아zdnet.co.kr # 키워드 AWS 세비지 메이커 :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머신러닝(ML) 서비스. 개발자와 데이터 과학자들이 ML 모델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축, 훈련,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3sx7/btsK5Px4a9X/fRVhlJHcXaSHeI7VwvOW71/img.png)
* 서버리스 아키텍처 란?말 그대로 서버를 구성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아키텍처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개발자가 서버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아키텍처이다.그러나 서버가 실제로는 로직에 필요한 서비스들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다른 점은 항상 서버가 작동하지는 않고 요청과 이벤트 발생 시에만 작동을 하여서 온 디멘트 요금제에 가장 가까운 아키텍처를 만들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유일하게 제공할수 있는 아키텍처의 종류로써 직접 서버를 구축하는 부분이나 네트워크 부분들을 구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만큼 비용과 시간 면에서 효율이 좋다.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을 구성하는 아키텍처만 구성하면 되니까 개발자의 업무에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장점 ] 서버관리가 불필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ROmVY/btsK5c1z4a8/jZmLCGc1cqqzHrBNj5g4Ok/img.png)
AWS를 사용하면서 AWS의 꽃 중 하나인 AWS 람다를 사용을 별로 해보지 못한 거 같아서 공부 겸 작성하는 글이다. * AWS 람다(Lambda) 란?서버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백엔드 서비스를 운영하게 끔 도와주는 서비스로 이벤트 중심의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이다.특별한 요청이나 예상치 못한 요청을 보고 받을 때나 다른 서비스에게 전달해야 할 때 많이 사용한다. 다양한 AWS 서비스와 연동하면서 사용되고 특히 서버리스 아키텍처에도 많이 구성된다.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되고 100만건 까지는 무료이며 그 이후에는 백만 건당 0.2불을 지불해야 한다.개발자 분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이기도 하다. * AWS에서 람다 간단하게 사용해보기간단하게 뺄셈 하는 람다를 테스트를 해보는 실습이다.런 타임 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faNn3/btsK4zWm5ev/D7fTVapMevR3a9KHkcjkV1/img.png)
* systemd와 런레벨사용자의 공간을 만들고 시스템을 초기화시키는 systemd에는 '런 레벨'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런레벨은 시스템이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 어떤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에 따라 특정 상태를 나눈다.초창기 유닉스의 Sysinit이라는 시스템에서 가져왔으며 숫자로 시스템의 상태를 표기한다.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 # 현재 명령어로 설정된 기본 런 레벨 확인.systemctl get-default# 런 레벨이 설정된 경로 확인ls -l /etc/systemd/system/default.target# 런 레벨 변경 명령어systemctl isolate multi-user / systemctl isolate runlevel5런레벨심볼릭 링크 (Target 파일)Target 원본 파일기능 설명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M2LUX/btsK3nCoP01/A73urfjGxBy9r1JJJOI0p1/img.png)
https://zdnet.co.kr/view/?no=20241201125509 구글·MS 격차 좁힐까…AWS, 리인벤트서 AI 사업 전략 제시아마존웹서비스(AWS)가 인공지능(AI) 혁신을 위한 새 전략 제시를 예고한 가운데 업계 이목을 끌고 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와의 AI 기술·사업 격차를 좁히려는 방안이 공개될 것으zdnet.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X9wW/btsK4bg5jTM/pQiXfRHbk6f0z1dGy8sAMk/img.png)
* 깃 허브가 뭔가요?문득 깃 허브를 사용해보았지만 Git Hub에 대해 뭔가 제대로 알고 싶어져서 쓴 글이다. 깃 허브는 MS의 산하 플랫폼이다. 코드를 저장하고 공유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이며 개발자들이 코드를 공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플랫폼이다. 즉 코드 저장소이며 협업 플랫폼이며 오픈 소스에 기여하고 제일 큰 장점은 무료이다!GitHub 관련 용어의미Remote RepositoryGitHub에 있는 저장소.Local Repository내 컴퓨터에 있는 저장소.Issues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작업 요청, 버그, 개선사항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도구.ActionsGitHub에서 제공하는 CI/CD 도구. 코드를 테스트 빌드 배포를 자동화 하는 도구.Wiki프로젝트의 설명서나 문서를 작성할 수 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WPTy/btsK4baiTuq/yPIQRKWYioXtmHGNQmviJ0/img.png)
* 취지: 파이썬으로 프로그램은 만들고 싶고 아직은 여러 코드를 참고해서 만들어 봐야 하는 프로그램들이 많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한번 쓱 보고 만들 수 있고 머리가 아프지 않은 만만하고 재밌는 코드를 만들어 보고 싶어서 만들었다. * 도구기본 파이썬 라이브러리: random 모듈 * 모듈 및 패키지 가져오기import random * 랜덤값 생성 및 시도 횟수 변수 설정random.randomint() : random모듈에서 int형으로 랜덤값을 만들어 주는 함수 사용얼마 만에 맞췄는지 카운트# 랜덤 값 설정random_num = random.randint(1,100)# 시도 횟수attempt_num = 0 * 진행 방식# 진행 방식while True: try: # 질문 던지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k8Pp/btsK3P57Yll/tyBlRVIfHr8cgJyRroK5d1/img.png)
https://zdnet.co.kr/view/?no=20241129115204 안드로이드 창시자들 "AI 에이전트용 차세대 OS 구축하겠다"전직 안드로이드 핵심 인력들이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 발전을 위한 차세대 운영체제(OS) 개발에 착수했다.29일 미국 IT 전문매체인 더버지에 따르면 구글 안드로이드 부사장을 역임한 휴고zdnet.co.kr # 키워드 데브 에이전트 : 2024년 10월에 설립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창업자는 CEO는 데이비드 싱글턴 전직 안드로이드 개발 부서에 있었으며 다양한 IT기술자들을 모아서 AI 에이전트를 위한 운영체제를 만들려고하는 회사이다.